PALIT 지포스 RTX 5060 DUAL D7 8GB 이엠텍 그래픽카드 [써보니]
PALIT 지포스 RTX 5060 DUAL D7 8GB 이엠텍 그래픽카드 [써보니]
  • 안병도
  • 승인 2025.08.07 21: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금은 PC를 새로 조립하거나 업그레이드할 때, 그래픽카드를 교체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다.

시장를 이끌어 나가는 엔비디아의 신제품 RTX 50 시리즈가 물량이나 가격 측면에서 비교적 구입하기 쉬운 수준까지 내려왔기 때문이다. 레퍼런스 카드를 기반으로 제품을 만드는 서드파티 업체들 또한 공격적으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며 사용자를 유혹하고 있다.

물론, RTX 50 시리즈가 기본적인 깡성능에서 지난 세대에 비해 향상 폭이 크지 않고, 가격은 신제품 수준으로 높기 때문에 매력이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같은 성능을 내는 데 필요한 전력 소비는 줄었고, DLSS 같은 프레임 증폭 기술이나 각종 인공지능 기능이 향상되었기에, 가격 대비 체감 성능 향상은 결코 작지 않다.

특히 앞으로 출시될 최신 게임들을 높은 만족도로 즐기고 싶다면, 최신 그래픽카드는 사실상 필수다.


◆ 펠릿(PALIT) 지포스 RTX 5060 DUAL D7 8GB 이엠텍

① 기본 사양
칩셋 : NVIDIA GeForce RTX 5060 (Ada Lovelace, 4 nm)
인터페이스 : PCIe 5.0 ×16 (at x8)
권장 파워 : 550 W 이상
전원 포트 : 8-핀 ×1

② 메모리 및 출력
메모리 : 8 GB GDDR7, 28 000 MHz, 128-bit
영상 출력 : HDMI ×1, DisplayPort ×3
지원 기능 : 멀티 모니터(최대 4대), 8K 해상도, HDR, HDCP 2.3

③ 전력 및 냉각
소비 전력 : 145 W
냉각 구성 : 방열판 + 히트파이프 + 듀얼 팬(2-팬)
제로팬 : 0 dB 기술

④ 외형 및 부가기능
카드 길이 × 두께 : 262.1 mm × 40.1 mm
백플레이트 : 적용
LED 라이트 : 측면 LED
제조사 : PALIT
유통 : 이엠텍


# 견고한 케이스 프레임 구조 안에 RGB LED 탑재


PALIT 지포스 RTX 5060 듀얼(DUAL) D7 8GB는 엔비디아 RTX 5060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오버클럭 없이 기본에 충실하면서 가격 면에서 매력을 높인 제품이다. 전체적으로는 PCI 슬롯 2개를 차지하는 두께의 직사각형이며, 크기는 262.1 × 126.3 × 40.1mm다.


GPU가 장착된 기판은 내부로 배치되고, 이를 견고한 케이스 프레임이 튼튼하게 보호하고 있다. 전면은 블랙 색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었으며, 9개의 블레이드(날개)가 달린 95mm 공랭팬 2개가 탑재됐다. 팬 외곽에는 회전과 어우러지는 물결무늬 패턴이 새겨져, 시각적 효과도 고려됐다.

윗면은 중앙부가 살짝 패인 M자 형태이며, 오른쪽에는 방열을 위한 슬릿이 마련되어 있고, GEFORCE RTX라는 제품명이 흰색으로 마킹돼 있다. 왼쪽에는 DUAL이라는 흰색 마킹 아래로 가로 슬릿 한 줄이 있고, 이 부분에서 LED 조명 효과가 나타난다. 기본 상태에선 녹색 LED가 점등되며, 썬더마스터 유틸리티를 이용해 RGB 색상 변경이 가능하다. 중앙에는 별도 전원 공급을 위한 8핀 단자가 위치해 있다.


뒷면에는 방열과 기판 보호의 이중 효과를 노린 견고한 금속 백플레이트가 장착됐다. 그래픽카드 후면 전체를 덮는 백플레이트는 안정성을 높이고, 듀얼 팬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역할도 한다. 왼쪽에는 제품 규격 마킹이, 오른쪽에는 공기 흐름을 돕는 기하학적 패턴의 슬릿이 있다.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좌측면에는 금속 브래킷이 부착되어 있으며, 벌집 모양의 슬릿이 있어 방열 능력을 높였다. 좌측면 하단에는 세로로 디스플레이 단자가 배치되었으며, 위쪽부터 DisplayPort 2.1b 3개, HDMI 2.1b 1개로 구성되어 총 4개의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다.

# 92mm 듀얼 팬과 복합 히트파이프로 방열 성능 향상


그래픽카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냉각 성능이다.


PALIT 듀얼 시리즈는 우수한 냉각 효율을 제공하는 듀얼 95mm 공랭 팬을 탑재해, 고성능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온도 유지를 기대할 수 있다. 각 팬은 9개의 블레이드를 갖추고 있으며, 공기를 후면 방열판 방향으로 직접 유입시켜 열을 빠르게 분산시킨다. 방열판은 GPU와 히트파이프를 통해 연결되며, 전체 구조는 고성능 열전달을 위해 설계되었다.

홈이 가공된 표면과 소결 분말 방식이 결합된 복합 히트파이프는, 내부에 최적화된 구리 분말 조합을 적용해 일반 구조 대비 최대 32% 향상된 열 방출 성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열 효율 개선 덕분에, 고출력 상태에서도 GPU는 성능 저하 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냉각 팬에는 제로 데시벨(0dB)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GPU 온도가 60도에 도달하거나 TGP(Total Graphics Power)가 150와트를 초과할 경우에만 팬이 회전하며, 반대로 GPU 온도가 50도 이하, 그래픽 메모리 온도가 80도 이하, TGP가 60와트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팬이 자동으로 정지한다.

이러한 조건부 팬 작동 방식은 불필요한 소음을 줄이고, 저부하 환경에서는 정숙한 시스템 운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고성능과 저소음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한 PALIT의 세심한 설계가 돋보이는 부분이다.

# 부스트 클럭은 2497MHz까지, 4개 디스플레이 단자 출력


PALIT 지포스 RTX 5060 DUAL D7 8GB는 엔비디아 레퍼런스 그래픽카드의 기본 성능을 충실히 계승하면서, 블랙 테마와 우수한 냉각 성능, RGB LED 감성을 더해 실사용자에게 어필하는 구성을 갖췄다.


핵심이 되는 GPU는 RTX 5060으로, 기본 클럭은 2,280MHz, 부스트 클럭은 최대 2,497MHz까지 도달한다. 그래픽 메모리는 128비트 버스 기반, 28Gbps 속도의 GDDR7 8GB가 탑재됐다.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쿠다 코어는 3,840개이며, 그래픽카드의 소비 전력은 145W, 시스템 권장 파워는 550W다.

출력 포트는 총 4개로, 최대 4K 해상도(3,840×2,160)에서는 480Hz, 8K 해상도(7,680×4,320)에서는 120Hz 주사율까지 지원된다. 다중 모니터 구성에도 적합하며, 고해상도 환경에서도 충분한 디스플레이 성능을 발휘한다.

RTX 5060에서 주목할 부분은 DLSS 4와 Multi-Frame Generation(MFG) 기술이다. AI 기반 프레임 생성 기능을 통해, 전통적인 GPU 연산 성능을 넘어선 체감 프레임 향상을 제공한다. DLSS와 MFG를 지원하는 게임에서는 이전 세대 대비 확연히 높은 퍼포먼스를 실현하며, 경쟁사 제품과의 비교에서도 강점을 보인다는 게 PALIT 측의 설명이다.


◆ 장착 및 테스트 환경

① CPU: AMD Ryzen 9 9950X3D
② M/B: ASRock X870 스틸레전드 WIFI
③ RAM: 마이크론 Crucial DDR5-6400 CL38 PRO Overclocking 블랙
④ SSD: 마이크론 크루셜 P310 1TB NVMe SSD
⑤ GPU: option
⑥ 쿨러: TRYX PANORAMA 3D SE 360 ARGB 수냉 쿨러
⑦ 파워: SuperFlower SF-1000F14GE LEADEX III GOLD UP ATX3.1
⑧ OS: Windows 11 Pro 23H2, Adrenalin Edition 23.5.1

Benchmark Test Score
3DMARKSpeed Way3,350
Port Royal8,412
Time Spy Extreme6,599
Fire Strike Extreme16,597
PCMARKPCMark 10 Overall8,781
Geekbench AISingle Precision20,639
Half Precision38,738
Quantized15,788
PASSMARK2D Graphics Mark1,402
3D Graphics Mark22,632
SPECviewperf 20203dsmax-07130.48 FPS
catia-0670.46 FPS
maya-06508.93 FPS
medical-0339.70 FPS
solidworks-07290.53 FPS

3DMark 항목 중 Fire Strike Extreme에서는 16,597점을 기록해 전통적인 DX11 기반 게임에서 144Hz 이상의 고주사율 플레이가 가능한 수준임을 보여줬고, Time Spy Extreme 점수는 6,599점으로, QHD 해상도에서 대부분의 최신 게임을 쾌적하게 구동할 수 있는 성능을 확인했다. Port Royal 점수는 8,412점으로 측정됐는데, 이는 레이트레이싱 기능이 적용된 게임에서도 중간 이상 옵션으로 안정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최신 DX12 Ultimate 기술을 반영하는 Speed Way 역시 3,350점을 기록하며, QHD 환경 기준으로는 중간~높은 옵션 구성이 충분히 가능한 성능을 보였다.

PCMark 10에서는 8,781점을 기록했다. 이는 영상 편집, 웹 브라우징, 문서 작성과 같은 일반 작업에서 병목 없는 반응 속도를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실사용 기준에서도 매우 쾌적한 환경이 구현된다. Geekbench AI 테스트에서도 Single Precision 20,639점, Half Precision 38,738점, Quantized 15,788점을 기록해 DLSS 4와 프레임 생성 기능이 적용되는 최신 게임에서 실제 프레임보다 높은 체감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PassMark에서는 2D 그래픽 1,402점, 3D 그래픽 22,632점이 측정됐다. 2D 점수는 윈도우 인터페이스나 기본 이미지 편집 작업에서의 안정적인 처리 속도를 의미하며, 3D 점수는 최신 게임에서 100프레임 이상의 안정적인 퍼포먼스를 기대할 수 있는 수준으로 해석된다. SPECviewperf 2020에서는 3dsmax 130.48FPS, catia 70.46FPS, maya 508.93FPS 등의 결과가 나왔으며, 이는 전문 3D 모델링·렌더링 환경에서도 실시간 뷰포트 퍼포먼스가 매우 우수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처럼 다양한 벤치마크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면 RTX 5060 기반 시스템은 최신 게임에서의 실질적인 플레이 성능은 물론, 콘텐츠 제작, 멀티미디어 작업, 인공지능 기능 활용까지 아우를 수 있는 다용도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갖췄다고 볼 수 있다

요약하자면 3DMark Fire Strike 등 주요 벤치마크에서는 RTX 4060 Ti 8GB와 비슷하거나 일부 테스트에서는 약간 앞서는 결과를 보여준다. 다만, 이전 세대에서 RTX 4070급 성능을 기대했던 사용자에게는 다소 아쉬울 수 있는 수준이기도 하다.


최신 게임들에서는 FHD 해상도 기준으로 RTX 4060 Ti와 유사하거나 미세하게 뒤처지는 모습을 보이지만, DLSS 4 및 MFG 같은 신기술이 잘 적용된 게임에서는 오히려 우위를 점하는 결과도 나온다. 특히 QHD 이상 해상도에서는 세대 교체의 의미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전반적으로 RTX 4060 대비 약 20% 수준의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다.

** 편집자 주 = 기본과 안정성을 중시하면서 LED 조명까지

PC를 직접 맞추는 사용자의 특징은, 다양한 취향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미 만들어진 완제품이 아니라 부품 하나하나를 직접 고르고 세팅한다는 건, 그만큼 자기 개성과 분명한 주관이 있다는 증거다. 그래픽카드는 가장 확실하게 가격 대비 성능이 드러나는 부품인 만큼, 사용자의 취향이 직접적으로 반영된다.

PALIT 지포스 RTX 5060 DUAL D7 8GB는, 가성비가 우수한 그래픽카드 중에서도 기본기와 안정성을 중시하면서 디자인에 약간의 감성 포인트까지 더하고 싶은 사용자를 위한 제품이다. 오버클럭 같은 성능 세팅은 생략됐지만, 그 대신 냉각 성능과 살짝 미흡하긴 하나 RGB LED 조명에 좀 더 신경을 썼다.

미세한 성능 향상보다는 오랜 시간 안심하고 쓰면서, 예쁜 조명을 즐기고 싶은 사용자라면? 약 49만 원(다나와 최저가 기준)에 살 수 있기에, 동급 그래픽카드 중 후회 없는 선택이 될 수 있다.


By 안병도 에디터 Byeongdo.An@weeklypost.kr
〈저작권자ⓒ 위클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 학습 포함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지역총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33-33 대륭테크노타운2차 7층 705-6호 포스트미디어그룹 | 서울본사) 서울특별시 은평구 은평로2길 16-12 402호 (신사1동, 디딤빌) |
  • 대표전화 : 02-6014-2580 / 010-4011-0118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신강
  • 상호 : 포스트미디어그룹
  • 제호 : 위클리포스트(weeklypost)
  • 등록번호 : 서울 아 03755
  • 등록일 : 2015-05-26
  • 발행일 : 2008-04-05
  • 발행인 : 김현동
  • 편집인 : 김현동
  • 위클리포스트(weeklypost)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위클리포스트(weeklypost).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inetique@naver.com
ND소프트